본문 바로가기

Lecture5

06.21 [용인시 온가정학교] 변화하는 입시 속 진로의 답을 찾다(심화)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. 2023. 6. 21.
심폐소생술 강의 2022. 12. 8.
[진로이론] 구성주의 진로발달이론과 진로의사결정 한국복지대학교 장애상담심리과 양종국교수님 질문을 잘해야 한다. 질문이 상대방의 프레임을 결정한다. 내 말 이해했어? vs 이해할 수 있도록 엄마가 잘 설명했니? 반항심이 생기는 why? 질문보다는 자기 통찰이 가능한 what? how? 질문 ~해라! 보다는 ~하자! 청유, 권유형 ~해라! 다음에는 '이거 내 생각이야...' 덧붙이기 칭찬보다는 격려를 하자.(열심히 했구나, 노력했구나, 최선을 다했구나) 생각변화→ 행동변화→ 습관변화→인생변화: 작은 것부터 바꿔야 인생을 변화시킬 수 있다. 말을 바꾸면 생각을 바꿀 수 있고, 그 말은 긍정적 목적의 말이어야 한다. 대화는 대각선 위치가, 사이에 아무것도 없는 것이 좋고, 시선은 이목구비 분산시킨다. 고개는 15º 정도 기울이고 으음, 아~ 그래... 맞장구.. 2022. 8. 24.
[교류분석의 스트로크 이해] Kace 부모리더쉽센터 강사 이봉순 선생님 STROKE(인정자극): 사람이 인간관계에서 서로간에 존재를 인정해주고, 인정받기 위해 필요한 일체의 수단(대화란 결국 스트로크의 교환), 인간관계에서 쌍방간에 자극을 주고 반응을 하는데 사용하는 일체의 수단 스트로크 기아: 인간의 사회생활, 직장생활, 가정생활 속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느끼지 못할 때 생기는 심리적 상실감, 심리적 허탈감, 심리적 배고픔을 말함 스트로크의 질, 양 분석 긍정적+무조건부>긍정적+조건부>부정적+조건부>부정적+무조건부> NO STROKE(가장 큰 박탈감) ex) 네가 최고야!> 심부름을 해줘서 고마워!> 너가 잘못해서 화가 났어!> 나가! 꼴보기 싫어 스트로크를 되돌려줄 때는 똑같은 양과 질로! 디스카운트: 동양의 문화에서는 겸손, 겸.. 2022. 8. 24.